데이터처리를 하다보면 쉼표( , )로 구분된 문자열을 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아래와 같이 쉼표로 구분된 과일명의 데이터가 있다고 합시다. A, B, C 각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과일 종류의 개수가 몇인지 알고 싶다면 이대로 분석을 하기엔 어렵습니다. 데이터 양이 작다면 하나씩 세도 되지만, 그 양이 많아진다면 난감하겠죠? 목표는 왼쪽에 있는 데이터를 오른쪽으로 바꾸는 것입니다. 보아하니 쉼표로 구분된 형태보다 우측 데이터로 형태로 변형하면 분석하기 쉬워질 것 같습니다. 변형을 하는 방법이 몇 가지 있으니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. 1.데이터 생성 test % melt(id.vars='id') # id.vars 인자에 'id'를 줍니다. # 여기에서 'id'는 test1 데이터의 id라는 변수명입니다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