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사위를 던질 때 4가 나오는 실험을 한다고 합시다. 이 실험에서 표본공간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. 표본공간(S)={ 4가 안나옴, 4가 나옴} 즉, 주사위를 던질 때 이 두가지 경우가 나옵니다. 이 때 4가 나오는 횟수에 대해 수치적으로 다룰 수 있는 새로운 표본공간을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. 당연히 아예 나오지 않거나 한 번 나오겠죠 새로운 표본공간(S'') = {0, 1} 이와 같이 확률실험(주사위를 던지기)을 할 때 새로운 표본 공간의 수 형태로 표현되는데 이를 확률변수라고 합니다. 이렇게 확률변수를 정의하고 나면 확률을 구하는게 간편해집니다. 여기에서는 주사위를 던질 때 4가 나오는 횟수를 확률변수 X라고 정의하면 0 또는 1이 됩니다. 확률변수의 값은 언제든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일..